금연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변화단계 모형의 적용
홍보학 |
한국PR학회 |
27 pages|
2016.11.11|
파일형태 :
자료요약
본 연구는 금연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변화단계 모형을 적용하여 금연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반응이 각 단계의 흡연자 집단마다 차이가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811명의 흡연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온라인설문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과 매개분석, 일원 분산 분석을 통해 가설과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위협 소구 메시지에 대한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은 각각 금연의도에 중요한 예측 변수이었고, 지각된 효과성은 공포 반응과 금연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도 하였다. 변화단계별 회귀 분석 결과, 사전숙고 단계의 흡연자들에서 공포 반응이 금연의도의 예측 변수이었던 반면, 행동 단계의 흡연자들에서는 지각된 효과성이 금연의도의 예측 변수이었다. 숙고 단계와 준비 단계의 흡연자들에서는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 모두 금연의도의 예측 변수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위협 소구 캠페인 메시지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공포 수준이 높아야 함은 물론이고 공포 반응을 통해 수용자들이 메시지를 설득적이라고 평가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변화단계별로 세분화된 흡연자들에게 맞는 차별화된메시지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s that fear response and perceived effectiveness play in predicting smokers’ quitting intention. The stage of change model was applied to demonstrate how responses to antismoking campaign messages vary among smokers at different stages of a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811 smokers nationwide. Results were as follows: (1) fear response and perceived effectiven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quitting intention; (2) perceived effectiveness had a larger predictive role than fear response, and i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and quitting intention; (3) responses to antismoking campaign messages varied according to stage of change ? specifically, smokers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reported a lower level of fear, perceived effectiveness, and quitting intention than smokers at other stages. A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fear, but not perceived effectivenes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quitting intention among smokers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whereas the opposite was the case for those in the action stage. Results suggest that perceived effectiveness has equal or perhaps even more importance than fear response in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of threat appeal messages. An additional implication is that messages should be tailored according to target audiences’ different stages of ac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oles that fear response and perceived effectiveness play in predicting smokers’ quitting intention. The stage of change model was applied to demonstrate how responses to antismoking campaign messages vary among smokers at different stages of a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811 smokers nationwide. Results were as follows: (1) fear response and perceived effectiven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quitting intention; (2) perceived effectiveness had a larger predictive role than fear response, and i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and quitting intention; (3) responses to antismoking campaign messages varied according to stage of change ? specifically, smokers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reported a lower level of fear, perceived effectiveness, and quitting intention than smokers at other stages. A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fear, but not perceived effectivenes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quitting intention among smokers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whereas the opposite was the case for those in the action stage. Results suggest that perceived effectiveness has equal or perhaps even more importance than fear response in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of threat appeal messages. An additional implication is that messages should be tailored according to target audiences’ different stages of action.
목차
요약
연구배경
문헌연구
우리나라 흡연 현황과 금연캠페인
위협 소구 메시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
수용자 세분화를 위한 이론적 모형: 변화단계 모형
연구방법
조사방법 및 자료수집
설문의 구성
주요 변수의 측정
연구 결과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흡연자의 금연 변화단계
연구문제/가설 검증
결론 및 논의
연구의 한계, 향후 연구 제안, 함의
References
Abstract
연구배경
문헌연구
우리나라 흡연 현황과 금연캠페인
위협 소구 메시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
수용자 세분화를 위한 이론적 모형: 변화단계 모형
연구방법
조사방법 및 자료수집
설문의 구성
주요 변수의 측정
연구 결과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흡연자의 금연 변화단계
연구문제/가설 검증
결론 및 논의
연구의 한계, 향후 연구 제안, 함의
References
Abstract
위협 소구
공포
지각된 효과성
금연 캠페인
변화단계 모형
수용자 세분화
메시지전략
threat appeal
fear
perceived effectiveness
antismoking campaign
stage of change
audience segmentation
message strateg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