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관점의 대통령 소통 평가 요인이 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홍보학연구 | 한국PR학회 | 28 pages| 2017.04.17| 파일형태 :
조회 3974 다운로드 1
자료요약
이 연구는 국민 관점에서 대통령의 소통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일련의 지수 개발 절차를 통해 조사하였다. 그결과 대통령의 소통에 대한 평가 요인들은 ‘대통령의 소통 역량’, ‘대통령의 정책 소통에 대한 언론의 보도 빈도’, 그리고 ‘소통 채널의 활용 정도’의 3요인 18문항으로 요약되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소통 평가 요인들이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지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경로분석을 수행한 결과 세 소통 평가 요인들이 모두 대통령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하여 대통령에 대한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소통 평가 요인들이 지지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고려할 때 단지 대통령의 소통 역량 요인만이 유의미하였고 나아가 직·간접적인 효과의 총합인 총 효과를 살펴볼 때 단지 소통 역량의 요인만이 종합적으로 대통령에 대한지지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 같은 결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도 마찬가지로 관찰되었다. 즉, 소득수준이 높고, 정치 성향이 보수적이며, 지난 대선에서 대통령을 지지한 응답자일수록 지지도가 높은 편이었고,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정부에 대해 보다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여 지지도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같은 변인들의 영향력과 더불어 대통령의 소통 역량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는 지지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침을 다시 확인하였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이 연구는 대통령의 소통 역량에 대한 국민 인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그 차별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how people evaluate president’s communication by performing a series of analyses for scale development. Respondents evaluated president’s communication with three factors of president’s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frequency of news report about president’s policy communication, and the level of communication channel usage measured with a total of 18 measurement items. Next, this study peformed a path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three factors on trust in president and their influence on support for president with the mediating variable of trust. This study found that all the three factors influenced support for president via trust. However, president’s communication capability onl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upport for president, and furthermore it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for support for president in terms of the total effect including direct and indirect effect. This study found the same results i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at is, respondents who have higher income, show more 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and supported current president in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were likely to strongly support their president, whereas highly educated respondents were not likely to support their president with a critical perspective. In addition to these factors, president’s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trust in president were also positively significant for support for presid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depth.
목차
요약
서론
문헌 연구
소통의 개념
정부 정책 소통 연구
정부/정책 소통 평가 요인
방법론
문항의 구성 및 조사 과정
표본의 특성
결과
토론 및 결론
주요 결과의 요약
이론적 함의
실무적 함의
연구의 한계 및 미래 연구에 대한 제안
References
Abstract
대통령 소통 평가 소통 역량 보도 빈도 매체 활용 신뢰 지지도 president communication evaluation communication capability news frequency media usage trust support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PR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