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정부공중 관계 구성 차원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 한국PR학회 | 43 pages| 2017.04.17| 파일형태 :
조회 5109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정부-공중 관계 구성 차원과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public relations학의 핵심 연구 분야인 조직-공중 관계를 한국의 현실에 맞게 재구성 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중앙 정부를 연구 대상 조직으로 설정하고 척도 개발절차에 따라 문헌 연구, 예비 조사, 본 조사를 진행한 후 분석 절차에 맞춰 면밀하게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형 정부-공중 관계는 2개의 구성 차원과 총 12개의 측정 문항으로 나타났다. 2개의 구성 차원은 <국정 수행 역량>, <국정 소통 역량>으로 명명하였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정부와 공중의 우호적 관계형성 및 정부 신뢰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고, 실질적인 public relations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imensions of government-public relationship that reflects Korean societal and cultural contexts. This research has an ample significance in reorganizing the Korea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which is the core research topic in the public relations fiel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e central government was recognized as a targeting subject organization. Following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development procedure, in-depth review of the literature, pilot survey, and main survey were conducted. Finally, data were analyzed thoroughly according to the common practices to isolate measurement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government-public relationship contained two dimensions consisting of twelve measurement items. The two construct dimensions were labeled as (a) competency of policy administration; (b) competency of government communication. The results could help Korean government to regain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public as well as increase public’s trust toward government.
목차
요약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문헌 연구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관하여
집단 정체감으로서 우리성
한국 사회에서의 정부 신뢰
조직 - 공중 관계성에 관하여
연구문제
연구 방법
연구 진행 절차
분석 방법
연구 대상 조직 및 표본 구성
연구 결과
기초 분석 결과
<연구문제 1>의 연구 결과
연구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Abstract
한국 사회문화적 맥락 정부 - 공중 관계 정부 신뢰 국정 수행 역량 국정 소통 역량 Korean societal and cultural contexts government?public relationship government trust competency of policy administration competency of government communication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PR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