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에 대한 인식과 팩트체크 효과 연구 - 기존 신념과의 일치 여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40 pages| 2018.05.09| 파일형태 :
조회 3279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가짜뉴스에 대한 인식과 팩트체크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심리적 기제를 파악하는 데 있다. 특히 수용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신념이 유발할 수 있는 편향적 정보처리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2(가짜뉴스와의 신념 일치 여부: 일치 vs. 불일치)×2(팩트체크주장의 품질: 강 vs. 약)×2(팩트체크 정보원: 우호 vs. 비우호) 요인 설계를 적용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N = 446). 연구 결과 사람들은 자신의 기존 신념과 일치하지 않는 뉴스를 가짜뉴스라고 인식하는 정도가 증가하였고 뉴스 전파의도는 감소하였다. 팩트체크 효과의 경우 주장의 품질과 정보원의 상호작용이 신념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신의 신념과 일치하는 가짜뉴스의 경우 정보원 우호도와 관계없이 강한 주장의 팩트체크에 대해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지만, 신념과 일치하지 않는 가짜뉴스의 경우 우호적 정보원의 강한 주장에 대해서만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팩트체크에 대한 평가는 가짜뉴스 인식과 뉴스 전파의도를 매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perceptions about fake news and the effects of fact-checking journalism. We particularly focused on biased information processing as a result of prior beliefs. Results showed that news messages that are inconsistent with prior beliefs were more likely to be perceived as fake news, and were less likely to be shared with others. For fact-checking information, we tested the effects of argument quality (strong vs. weak) and source type (favorable vs. unfavorable). There was a three-way interaction among argument quality, source type, and prior belief. Specifically, for belief-consistent fake news, fact-checking information that contained strong arguments was evaluated positively, whereas for belief-inconsistent fake news, fact-checking information from a favorable source that contained strong arguments was evaluated positively. Evaluation toward fact-checking inform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gument quality and fake news attitud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방법론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가짜뉴스 팩트체크 편향적 정보처리 주장의 품질 정보원 fake news fact check biased information processing argument quality source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