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요약
본 연구는 내용중심적인 측면이나 매체중심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공동체미디어 실천의 존재론적인 조건인 구체적인/물리적인 삶의 공간 속에 공동체미디어 실천을 포지셔닝 하고, 장기간의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 현장연구를 통해 공동체미디어 실천을 공동체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공동체미디어 실천을 계기로 또는 공동체미디어 실천 과정을 경유하면서 공동체적 감수성을 환기하게 되는 정서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과정에서 공동체미디어 실천의 범주를 확장시켜 다각도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파악하게 되었고, 공동체적 삶을 엮어내는 플랫폼으로서 공동체미디어의 가능성/잠재성도 발견할 수 있었다.
공동체미디어 실천은 추상적인 인식 차원으로서의 공동체가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공간으로서의 공동체와 맞닿아 있다. 즉 공동체미디어의 정체성은 공동체와 공동체미디어의 관계 속에서 참여자들이 만들어내는 생성적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잠정적 산물이다. 본 논문은 공동체미디어 ‘창신동라디오 <덤>’의 사례를 통해, 공동체미디어 실천 현장의 다이나믹을 포착하여 공동체미디어가 가진 다양한 정체성과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조망하려는 시도를 한 연구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locate the media practices of community members within the concrete milieu of local community Chngshin-dong, and then to make sense of what the community media practices mean for them in their everyday lives. Drawing upon the thick data collected from a year-and-a half-long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in the field, researchers came up with such key findings as follows. First, community residents -who participate in community media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well as other community activities and social events- went through changes in terms of emotions/feelings/affect and experience a new sense of community and belonging. Second, the identity of community media seemed to depend on the outcome of formative communication processes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media. This study is an attempt to look into the interwoven dynamics in the field of community media production/consumption and articulate them with other communal activities. It maps out the complex contours and spectrum of community media within the specific context of quotidian lives of the community residents.
공동체미디어 실천은 추상적인 인식 차원으로서의 공동체가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공간으로서의 공동체와 맞닿아 있다. 즉 공동체미디어의 정체성은 공동체와 공동체미디어의 관계 속에서 참여자들이 만들어내는 생성적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잠정적 산물이다. 본 논문은 공동체미디어 ‘창신동라디오 <덤>’의 사례를 통해, 공동체미디어 실천 현장의 다이나믹을 포착하여 공동체미디어가 가진 다양한 정체성과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조망하려는 시도를 한 연구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locate the media practices of community members within the concrete milieu of local community Chngshin-dong, and then to make sense of what the community media practices mean for them in their everyday lives. Drawing upon the thick data collected from a year-and-a half-long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in the field, researchers came up with such key findings as follows. First, community residents -who participate in community media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well as other community activities and social events- went through changes in terms of emotions/feelings/affect and experience a new sense of community and belonging. Second, the identity of community media seemed to depend on the outcome of formative communication processes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media. This study is an attempt to look into the interwoven dynamics in the field of community media production/consumption and articulate them with other communal activities. It maps out the complex contours and spectrum of community media within the specific context of quotidian lives of the community residents.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고찰
3.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나가며
2.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고찰
3.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나가며
#공동체미디어
#현장연구
#참여관찰
#미디어 실천
#공동체적 감수성
#Community Media
#Fieldwork
#Participant Observation
#Media Practices
#Sense of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