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선호판단 시 사전 지식수준에 따른 속성과 편익 정렬성의 차별적 효과
서강대학교 | 78 pages| 2006.12.01| 파일형태 :
조회 1542 다운로드 1
자료요약
기존의 많은 정렬가능성의 연구들은 제품의 속성정보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제품정보에는 속성정보뿐만 아니라 편익정보도 있고, 이 둘을 혼합한 정보도 있다. 이로 인해 편익정보와 혼합정보에 대한 정렬가능성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런 정보를 제시했을 경우 사전 지식수준에 따른 소비자 집단에 의해 그 영향이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는 각각의 정보를 제시했을 경우 소비자의 사전 지식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 1>의 결과를 보면, 첫째, 속성정보의 정렬가능성 정도와 편익정보의 정렬가능성 정도에 따라 타겟 브랜드 평가는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속성정보의 정렬가능성의 경우에는 정렬 가능한 속성으로 우월하게 표현한 경우, 타겟 브랜드에만 있는 속성으로 우월하게 표현한 경우, 타겟 브랜드와 준거 브랜드가 달리 가지고 있는 속성에서 타겟 브랜드가 우월하게 표현된 경우의 순으로 타겟 브랜드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구조적 정렬가능성 타겟 브랜드 정보탐색 지식수준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서강대학교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