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요약
본 연구는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스토리 유형을 알아보고 스토리에 대한 선호가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와 한국에 대한 태도 그리고 한국에 대한 신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모델화하여 알아본 것이다. 연구 결과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스토리는 문화정체성, 성공, 사랑과 운명, 미래/과학, 영웅/신화로 나타났다. 스토리 유형과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와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는 찾지 못하였다. 한국에 대한 태도에는 문화정체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영웅/신화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는 한국에 대한 태도와 한국과 관련된 신념에 긍정적으로 연결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대한 태도는 한국관련 신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토리 유형화에 대한 계량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와 함께 국가 브랜드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preference of content types, and its effects on media content consumption and county brands of Korea. Using Chinese college students as a sample, this study investigates specific dimensions of media content storytelling, and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tory types and country brands of Korea. The findings of story preference show that Cultural Identity, Success, Love/Destiny, Future/Science, and Hero/Myth are preferred story types of college students. Among them, Cultural Identity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Korea, and Hero/Myth nega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Korea. In addition, media consumption is linked to country attitudes and country beliefs, and country attitudes lead to country belief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refinement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This study explores preference of content types, and its effects on media content consumption and county brands of Korea. Using Chinese college students as a sample, this study investigates specific dimensions of media content storytelling, and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tory types and country brands of Korea. The findings of story preference show that Cultural Identity, Success, Love/Destiny, Future/Science, and Hero/Myth are preferred story types of college students. Among them, Cultural Identity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Korea, and Hero/Myth nega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Korea. In addition, media consumption is linked to country attitudes and country beliefs, and country attitudes lead to country belief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refinement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1.서론
2.이론적 배경
1)문화콘텐츠 소비
(1)커뮤니케이션 효과
(2)한국 문화콘텐츠의 성공 요인
2)스토리텔링
3)국가브랜드
3.방법론
1)표본
2)측정
4.결과
1)스토리유형의 신뢰성 및 타당성
2)연구모델 검증
5.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2.이론적 배경
1)문화콘텐츠 소비
(1)커뮤니케이션 효과
(2)한국 문화콘텐츠의 성공 요인
2)스토리텔링
3)국가브랜드
3.방법론
1)표본
2)측정
4.결과
1)스토리유형의 신뢰성 및 타당성
2)연구모델 검증
5.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국가 브랜드
Media Content
Storytelling
Country Br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