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커뮤니케이션 개념의 역사적 이해 - ‘언론’ 유사 개념으로서의 ‘간쟁’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학회 봄철정기학술대회 | 한국언론학회 | 18 pages| 2009.06.15| 파일형태 :
조회 3753 다운로드 5
자료요약
우리 선조들은 요즈음 일상화된 ‘언론’이라는 단어 대신에 ‘간쟁’(諫諍)이라는 단어를 '언론'과 유사 개념으로 삼국시대 초기부터 조선시대 말기까지 줄기차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삼국사기』에는 ‘간’(諫)이라는 단어를 26건 36회 사용하고 있는데, ①『삼국사기』신라본기, 시조혁거세거서간, 38년(BC 20년) “王憤欲殺之, 左右諫止” ②『삼국사기』 백제본기, 시조온조왕, “十臣諫曰 ...” ③『삼국사기』고구려본기 모본왕 4년 “臣有諫者, 彎弓射之” 등의 기록이 있어, 삼국시대 초기부터 ‘간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던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지금까지 이루어진 조선왕조 언론연구는 크게 보아 두 갈래 방향에서 진행되어 왔다. 하나는 대간제도와 조보제도를 필두로 상소제도와 신문고제도, 경연제도, 구언제도 등의 언론제도에 대한 연구이며, 또 다른 하나는 유학자들 예컨대, 정도전, 조광조, 이율곡, 최한기, 정약용 등의 언론사상에 대한 연구였다(김민환, 1996, 21-35쪽).
조선시대까지 ‘언론’이라는 단어와 연관시켜 그 다양한 유형이나 기능 및 역할 등을 살펴 볼 수 있는 용례가 드물지만, ‘간쟁’과 연관시켜 살펴볼 여지는 매우 많은 실정이다. 그런점에서 여기서는 언론사상이나 언론제도 연구보다 더욱 기초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는 용어 즉, ‘언론’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조선왕조실록에 다양한 용례를 가지고 있는 ‘간쟁’에 초점을 맞추어 그 개념과 유형, 군주의 납간 스타일에 따른 효과, 간쟁 용례 등을 조선시대에 국한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1. 머리말

2. 언론 유사개념으로서의 간쟁 개념과 유형

3. 군주의 자질과 납간 유형과의 상관성

4. 諫諍유형의 출현빈도와 그 용례

5. 맺는 말

참고문헌
한국적 커뮤니케이션 언론 간쟁 신문고제도 상소제도 구언제도 언론제도 조선시대 언론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