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적 의미고정 수준에 따른 아트광고 효과- 아트 친숙성, 제품과 아트 간의 적합성,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자료요약
본 연구는 의미고정 수준(비고정/저고정/고고정)에 따른 아트광고의 효과, 그리고 소비자의 아트 친숙성, 아트와 제품과의 적합성, 제품유형(실용적 제품/쾌락적 제품)이 의미고정 수준의 효과를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대학생 351명 대상으로 실험연구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의미고정 수준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아트 친숙성과 제품유형이 의미고정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아트 친숙성이 낮은 경우에는 의미고정을 안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친숙성이 높은 집단에게는 낮은 수준의 의미고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의미고정은 아트 친숙성에 관계없이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제품유형이 쾌락적 제품의 경우 의미고정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실용적 제품은 저수준의 의미고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트 친숙성과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의 의미고정은 제품 유형에 관계없이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는 못했다.
그 결과 의미고정 수준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아트 친숙성과 제품유형이 의미고정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아트 친숙성이 낮은 경우에는 의미고정을 안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친숙성이 높은 집단에게는 낮은 수준의 의미고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의미고정은 아트 친숙성에 관계없이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제품유형이 쾌락적 제품의 경우 의미고정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실용적 제품은 저수준의 의미고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트 친숙성과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의 의미고정은 제품 유형에 관계없이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는 못했다.
목차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3. 가설검증
4. 연구방법
5. 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2. 이론적 배경
3. 가설검증
4. 연구방법
5. 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아트광고
언어적 의미고정
아트친숙성
적합성
실용적 제품
쾌락적 제품
ad with art image
verbal anchoring
art familiarity
congruence
utilitarian product
hedonic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