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하나로 사람과 세상을 움직이는 엄청난 일
광고계동향 기사입력 2025.02.17 02:21 조회 253
생각 하나로 사람과
세상을 움직이는 엄청난 일


글 김홍균 카피라이터 | 디마이너스원


8년 전, 대학교에서 처음 광고를 배우던 때가 떠오릅니다. 당시 정치외교학을 전공하던 저는 교양수업으로 광고학개론 수업을 들을 일이 있었습니다. 그때 처음 전설적인 광고들을 보면서 ‘나도 이런 광고를 만들어 보고 싶다!’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중 어떤 광고는 평소에 잘 울지 않던 저를 심지어 눈물짓게 하고 그 브랜드를 좋아하게도 만들었습니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지? 어떻게 저런 문장을 쓰지?”

존경심과 경외감의 연속이었던 그 시절. 누군가의 마음을 빼앗을 수 있는 이 일에 마음을 빼앗기고만 저는 학과를 옮기고 광고인이 되기로 결심했습니다. ‘광고는 관심 없어!’를 디폴트 값으로 입력해 둔 사람들의 생각마저도 흔들어 버리는, 때로는 완전히 뒤집을 힘을 가진 크리에이티브를 만들어내는 광고인들. 제가 동경했던 그들에게는 생각 하나로 많은 것들을 움직일 수 있는 엄청난 힘이 있었습니다. 

광고인이라는 꿈이 무르익어 갈 때쯤, 어느 선배들과의 술자리에서 종종 이런 이야기들을 들었습니다. 농담 삼아 하신 말씀이겠지만, ‘광고회사 다니지 마라’, ‘광고는 사양 산업이다’, ‘전문성을 잃은 지 오래다’. 이런 이야기들을 듣다 보니 솔직히 흔들렸습니다. 내가 이 일의 밝은 면만 보고 꿈을 키운 것은 아닐지, 내가 알던 광고가 아니면 어떡하지 하는 걱정도 됐습니다. 하지만, 제가 오랜 시간 키워온 꿈을 저버릴 수는 없었기에, 한 번 도전해 보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저는 어엿한 광고인이 되었습니다. 유난히 운이 좋았던 덕분에 인턴부터 지금까지 감사하게도 정말 멋진 팀과 회사들을 만났습니다.

AP인턴으로 일했던 대홍기획 전략솔루션 4팀, AE인턴으로 일했던 온보드그룹 기획팀, 그리고 지금 제가 카피라이터로 몸담고 있는 디마이너스원. 그들은 모두 제게 ‘광고인의 전문성이란 무엇인지’, ‘왜 광고인이 이 세상에 필요한지’를 깨닫게 해주었습니다.

광고인이란 단순히 업무를 대행하는 사람이 아니라 컨설턴트로서,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전문가라는 확신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브랜드의 크리에이티브 파트너로서, 우리가 만든 캠페인이 어떤 영향력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참여한 빙그레 <처음 입는 광복> 캠페인은 오랜 시간 죄수복으로만 기록되어 있던 독립운동가의 국가공훈록 사진을, 광복을 입은 모습의 사진으로 바꾸었고, 초록우산 <돌봄약봉투> 캠페인은 약봉투라는 새로운 미디어 접점을 통해, 아무리 찾아도 발굴할 수 없었던 가족돌봄아동 약 2,000명을 찾아냈습니다.

우리가 전략적으로 기획한 크리에이티브로 인해 바뀌지 않던 것들이 변화하고, 해결되지 않던 것들이 해결되는 것을 직접 경험하면서 ‘어쩌면 크리에이티브, 그리고 우리 광고인들은 앞으로 더 많은 것들을 해낼 수 있겠구나’ 라는 더 큰 가능성을 보게 됐습니다. 여전히 크리에이티브는 어렵고 익숙하지 않습니다. 정답이 없는 일이다 보니 창작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고, 하나의 캠페인이 탄생하기 위해선 몇 달의 고민과 논의가 쌓여야 하기에 체력적으로 지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인고의 과정을 직접 겪으면서 알게 된 것이 있습니다.


이 일은 정답이 없어서 참 흥미롭고,
생각의 한계가 없기에 크리에이티브의 가능성도
무궁무진하다는 사실.

지름길이 없어서 오래 걸리고 힘들지만, 지름길이 없기 때문에 우리 같은 광고인들이 이 세상에 필요하다는 중요하고도 가치 있는 사실을 확실하게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분명 우리에게는 브랜드를 한 번 더 들여다보게 만들고 때로는 사랑받게 만들며, 누군가의 소중한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잊혀가는 이야기를 다시 주목받도록 만드는 엄청난 힘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선배님들이 견고하게 다져온, 그리고 지금은 우리가 이어가고 있는 광고인들만의 특별한 힘이자 전문성이라고 자부합니다.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월간 2023밈] 08월 편 - 그런날 있잖아 폭룡적 더위에 미칠 것 같은 날...
HS애드 광고 완전 폭룡적이다 MZ사진 그런날 있잖아... YCC에 참가하고 싶은 그런날... 기특해 죽겠어 복복복 유병재에게 질문을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Column] 광고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순기능
광고는 자유 시장경제를 추구하고 있는 사회에서 다양한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다. 때로는 사람들에게 풍요로운 삶을 제안하여, 인생의 목표를 수정하게 하고, 현실의 고독함을 미래의 희망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또 때로는 그 풍요로운 삶의 제안으로 인해 평범한 사람들에게 허탈감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문명사회에서 광고는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 역할이 결정되고, 사회의 다른 제도들과 통합적인 기능을 할 때 인간의 희망적인 삶이 광고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따라서 광고가 현재 인간과 사회에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면 광고가 미래에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캠페인 하이라이트] MCC 고베식당을 이야기하다
크리에이티브 컨설팅, 실행을 담보로 할 수 있을 것인가? ‘MCC 고베식당’ 프로젝트는 둘로 나뉘어진다. 바로 컨설팅과 실행이다. 그 둘이 함께 붙어 있기에 힘을 발휘한 프로젝트였고, 또한 둘로 나뉘어 있기에 어려운 프로젝트기도 했다. 2010년 4월 27일 매일유업에서 날아든 굵직한 숙제 하나. “우유하던 우리가 카레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잘 할지… 총체적으로 해봐!” 그렇게 시작된 숙제는 제일기획으로서는 새로운 ‘제품 컨설팅’ 의 영역이었다. 지금 이 시점, ‘ 크리에이티브 컨설팅’이라 명명된 우리만의 USP(Unique Selling Point)가 되어가고 있지만 초기만해도 가뜩이나 압도적 독점브랜드가 있는 시장 상황 속에 제품개발도 완결되지 않은, 유통도 가격도 결정되지 않은 실로 막막한 프로젝트였다.
넥스트 핫플레이스, 2024년 주목할 동네는?
사람들이 많이 살거나 일하는 동네는 상권이 발달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런 일반적 상권 말고, 멀리서도 일부러 찾아갈 정도의 욕망이 되는 특별한 상권을 흔히 ‘핫플레이스’라고 부른다. 어떤 동네가 핫플레이스가 된다는 건 랜드마크가 되는 한두 곳만 가치만 급등하는 게 아닌 그 동네 전반적으로 가치가 올라가는 것을 의미한다.